2011년에 1반을 맡고 어느덧 얼굴을 못 본지 3년이 지났다. 이제 중학교 3학년에 올라가는구나.. 벌써...

다들 잘 지내고 있는지 궁금하다. 그 때 이상하게도 '올 해가 내 생애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6학년 담임을 하는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 이후 선생님은 담임선생님을 해 보지 못했다. 너희들과 함께 지낸, 6학년 담임선생님을 할 때가 가장 행복해서 몇 차례 담임을 맡으려고 시도해 보았는데, 그게 잘 안 되더라. 이후 교과만 2년 맡으면서도 계속 2011학년도 6학년 1반이 마음속에 계속 떠올랐고 가끔씩 이렇게 앨범 사진 하나하나

보면서 '그 때 더 잘해볼걸..'하고 많은 생각을 했다. 그렇게 독산에서 총 3년 근무하다가 공부를 더 하고 싶어 학교를 휴직하고 대학원에 들어왔다.

  학교를 떠나고 아이들과 함께 숨쉬지 못하고 있으니 참으로 답답함을 느낀다. 선생님은 아이들과 같이 지낼 때 가장 행복한 것인데 그러질 못하고 있으니... 그러니 이렇게 옛날 사진만 기웃기웃거려본다. 다들 잘 지내고 있지? 몇 명은 작년에도 기회가 닿아 얼굴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몇 명은 가끔 독산 주변에 갈 때 스쳐 지나가는 경우도 있었고...

 

  중학교 3학년이 되어 누군가 조언을 필요로 할 때, 진로에 대해 고민하려고 하는데 대화할 상대가 필요할 때, 공부에 대해 고민이 들 때, 이성교제에 대해서도 고민이 생길 때 등 혹시나 선생님께 도움이 필요하거든 언제든 연락해, 주저하지 말고. 선생님도 중학교 3학년 올라가면서 흔히 말하는 '질풍노도'의 시기를 겪었고 그 시절에 얼마나 고민이 많은지 옛날 기억이 어렴풋하게 떠오른다. 도움을 제대로 줄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혹은 선생님이 지금 있는 대학교 구경해 보고 싶은 경우에도 괜찮다. 1년만 지나면 고등학생이 되고 고등학교에서 3년을 보내면 대학이라는 곳을 '으레' 가게 되는데 대학교가 어떻게 생겼는지 지금부터 궁금해질 땐 연락해. 선생님과 같이 캠퍼스 투어 한 번 해 보자. 연락처를 잃어버렸을 경우에는 이 블로그의 댓글이나 쪽지로 남겨줘도 좋다. 

 

  문득, 3년이 지났음에 '시간이 이렇게 많이 흘렀나'하는 생각이 들어 이렇게 글을 남겨본다. 중학교 3학년. 마치 초등학교의 마지막 해를 보낸 것처럼 중학교의 마지막 1년, 후회없이 즐겁고 재미있게 잘 보내. 힘내고!

 

Posted by be_punctual
영석이도 찍어 보고

민주도 찍어 보고

지윤이와 채이도 찍어 보고


하영이와 채이도 찍어 보고


지윤이의 신발끈을 묶어 주는 선영이


둘의 우정이 서로의 표정에서 느껴집니다.


하영이는 이제 내려가고 싶나 봅니다.


선영이와 사진 한 번 찍고 내려가자~

나영이도 민주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습니다.
'이제 내려가자'


내려가는 길에 승신이도 한 컷 찍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자를 내려오는 4명의 인물들!


아래로 내려와서는 기와담장 옆에서 지수와 나영이가 우정을 과시하는 듯한 포즈를 취합니다.


포토존이라고 있길래 사진을 찍었습니다. 몇 명이 빠졌네요.. 



백제 역사 문화관 앞에서 인증사진을 찍었습니다.


선영이와 지윤이는 전시장 안에서 같은 포즈를 취해 봅니다.

부여백제문화단지를 떠나 버스 안에서는 다섯 명이 뒤에 앉아 열심히 이야기를 나누고
게임도 하고 했습니다.
앞에 앉은 사람들은 좀 시끄러웠다고 하네요.
그래도 이렇게 버스에서 모여서 여러분들끼리 이야기할 날이 다시는 돌아오기 힘들 거라는 생각에
그냥 두었습니다.

마지막 레크리에이션을 끝으로 둘째날 행사도 끝났습니다.
<레크리에이션 사진은 다른 반 선생님 기기로 찍어 올리지 못했습니다.>

셋째날은 활동이 없어서 이로써 수련활동은 마치게 되었습니다.

Posted by be_punctual
둘째날은 먼저 군산철새 전망대로 향했습니다.
아쉬웠던 건 철새를 잘 보기 위해서는 해질녘에 와야 한다고 하네요.
아침이다보니 전망대에서 철새떼는 볼 수 없었습니다.


그래도 밖을 한 번 내다 봅니다.


 

금강 하구둑 주변에 매년 철새가 많이 찾아 온다고 합니다.

 

철새떼의 장관을 보면 참 좋았을텐데..


잠시 쉬고 있는 성준이


밖에 나오니 여기도 단풍이 제철입니다.


철새 대신 우리 안에 있는 독수리를 보았습니다.
독수리 인기가 참 많아요.

 

채이와 나영이가 새를 관찰하고 있습니다.


이것저것 바라본 다음에는 이렇게 여유롭게 그네도 탑니다.

 

아침부터 많이 걷다보니 힘들었지요?

아침 햇살에 비치는 눈부신 혜진이의 모습!

하영이는 하나라도 그냥 넘어가는 경우는 없지요.
만져보고 직접 체험을 하고 싶어하는 성향이 강해요.



군산철새전망대에서 나와 인근의 진포해양테마공원를 방문했습니다.
여러 가지 군 장비가 전시되어 있었고 다들 너무 신기해하고 즐거워했습니다.

'올라가지 마시오'라고 쓰여있지 않고 '올라갈 때 주의하시오'라고 쓰여 있는 게 이색적입니다.
올라가도 된다는 소리지요?


전쟁과 파괴, 죽음의 무기는 수명을 다 하면
평화와 재생, 삶의 한 가운데에 들어앉아
하나의 고철덩어리로서가 아닌

신비로움과 낯설음을 가져다 줍니다.



이 탱크도 예전에는 전장을 누비는 강력한 장비였겠지요?
지금은 순한 양처럼 아이들에게 자신의 등을 내 주었습니다.


정우는 언제나 즐거운 표정입니다.

 

해양경찰 경비정 안을 들어갔는데 신기한 장비가 참 많았습니다.


수송기 안에도 들어갔습니다.

지금은 평화롭게 '화보'를 찍는 이 공간이
20년 전에만 해도 낙하산을 등에 매고
자신의 목숨을 조국과 민족을 위해
바치는 분들이 계셨던 곳이라는 것을
상상하려하니 참으로 감회가 남다릅니다.




해군상륙함 위봉호 안에도 들어가 보았습니다.
수병들의 침대는 이렇게 되어 있네요.


파도치고 하면 참 잠자기 힘들 것 같아요.


위봉호의 조타실에 들어서서 이것저것 만져보고 있습니다.
모든 게 신기하기만 합니다.

 

함정 밖에 나와서도 사진을 찍어 보고...


계단에서도 찍어 보고..

 

배를 타면 모든 사람들이 한 번씩 해 본다는
타이타닉 포즈도 취해 봅니다.

인곤이도 v자를 보여주며 '사진찍어 주세요'라고 말해요.

 

지윤이도 한 컷 찍어 보고....


버스에 타야 할 시간이 되어 다시 돌아가는 길에
아까 들렀던 수송기가 다시 떠올라 사진 몇 장을 더 남기고 갑니다.
(선생님이 공군으로 군복무를 마쳐서 수송기가 더 애착이 가서 그랬나 봅니다.)

 



 


다시 대천임해수련원으로 가서 식사를 하고 이번 캠프의 마지막 장소인
부여백제문화단지를 들렀습니다.
선생님은 군 복무 시절에 여기에 '전적지 및 지역 문화재 답사'라는 명목으로
여기를 들른 기억이 있습니다. 그 때는 한창 공사중이었는데
이번에 가니 많이 완성이 되었네요.

단체사진부터 한 번 찍고!


남자들도 한 번 찍고..
표정이 안 좋은 건 '물'이 부족한 것도 있고 햇살을 마주보고 사진을 찍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소규모로도 사진을 찍었습니다.
여학생들은 함께 오다가 영상에 눈이 사로잡혀 남학생들만 모여서 사진을 찍게 되었네요.
영석이, 성제, 익준이

진석이, 다빈이, 정우

영승이와 성준이도...

대훈이도 같은 장소에서 한 번 찍었습니다.

그리고는 단지 전체를 조망하기 위해 약간 올라가 보았습니다.

다 올라가니 이렇게 지쳐서 정자 위에 뻗어버렸습니다...

 

그래도 정자 위에서 전체를 배경으로 사진 한 번 찍어야겠지요??
눈부신 햇살을 사선으로 하며 성제와 정우!


준영이도..
준영이 이마에 여드름이 하나 둘씩 생기기 시작하네요..

 

 

 

 

 

 

 

 

 

 







Posted by be_punctual